반응형
SMALL

 

 

 

경상수지가 흑자면 주가는 상승한다.

 

경상수지가 흑자면 주가가 상승하고, 경상수지가 적자면 주가가 하락합니다. 경상수지가 흑자라는 의미는 수출이 수입보다 많았다는 의미로, 기업이 실적이 좋아져서 주가 상승 요인이 됩니다. 반대로 경상수지가 적자면 기업의 실적이 나빠져서 주가 하락 요인이 됩니다.

 

인플레이션은 주가 상승, 디플레이션은 주가 하락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물가뿐 아니라 주가도 올라가므로 주식 비중을 확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인플레이션이라고 무조건 주가가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가가 상승하기 위한 인플레이션이 되려면 다음 두가지 조건이 맞아야 합니다.

 

 

 

 

첫째, GDP 성장률이 높아야 합니다. GDP성장률이 저조한데 물가만 올라가려는 경우를 스태크플레이션(Stagflation)이라고 합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Stagnation)와 물가 상승(Inflation)의 합성어로 불황의 전형적인 형태라 할 수 있는데 , 이때는 증시가 하락합니다.

 

둘째, 물가가 오르더라도 GDP성장률과 금리보다는 낮아야합니다. 물가상승률이 GDP성장률이나 금리보다 높으면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사업을 하거나 은행에 저축하는것보다 유리해져서 시중자금이 투기시장으로 몰리게 됩니다. 

인플레이션과 달리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Deflation)일 때는 증시가 상승하지 못합니다.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생산성이 높아져서 공급량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지만, 불경기도 수요가 감소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전자는 증시에 악재가 아니지만, 후자 즉 수요 감소로 인한 디플레이션에서는 주가가 상승하지 못합니다. 

 

기업실적이 호전되면 주가는 올라간다.

 

기업실적이 호전되면 주가는 올라가고, 기업실적이 악화되면 주가는 떨어집니다. 금리가 낮고 경기가 좋아져서 경제성장률이 높아지고 환율과 국제유가가 안정되어 있으면 기업실적이 좋아집니다. 기업실적이 좋아지면 기업가치가 높아지고 따라서 주가도 상승합니다. 

 

 

GDP갭과 Yield갭으로 증권시장 대세를 판단한다.

 

1.GDP갭이 플러스로 높을수록 경제상황이 좋아 증권시장에도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2. Yield갭으로 주식투자 기대수익률을 계산해 보고 주식투자를 한다.

일드갭(Yield 갭)은 주식투자 예상수익률과 확정부 이자율의 차이를 말하는데, 주로 주식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한지 여부를 판단할 때 이용합니다. 즉, 일드갭에는 주식투자 예상수익률이 은행 등의 예금이자율보다 유리할 때만 주식투자를 하고, 불리할 때는 주식시장을 떠나 있거나 확정부이자가 나오는 곳에 돈을 넣어두자는 뜻이 있습니다. 

 

일드갭= 주식투자 예상수익률-확정부 이자율

 

1. 주식투자 예상율 (%) = ( 주당순이익 /주가) x100 

 

2.확정부 이자율 

 확정부 이자율은 예금이나 국공채와 같이 위험을 부담하지 않고 받을 수 있는 이자율, 즉 무위험 이자율을 말합니다. 

 

 

 

 

 

 

 

**  주식투자를 해야 할 때와 하지 말아야 할 때를 판단하는 요령 

 

1. 먼저 경제상황을 판단해 본다.

 

맨 먼저 GDP 갭(GDP 성장률- GDP 잠재성장률)을 확인하고, 물가상승률, 환율, 국제수지 등을 보조지표로 하여 지금의 경제가 호황, 후퇴, 불황, 회복 중 어느 단계에 있는지 판단해 본다.

 

2. 경제상황을 판단한 결과

 

호황일 경우 - 대세상승이라고 전제하고 주식에 투자를 하되 일드갭을 계산해 보고 주식투자가 불리해질 때까지 투자를 계속한다.

 

후퇴일 경우- 대세가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되는 시기라고 보고 서서히 주식시장에서 빠져나와야 한다. 일드갭을 계산해 보고 주식투자가 조금이라도 불리하면 즉시 주식시장을 떠나야 한다.

 

불황일 경우- 시장이 하락추세라고 보고 시장을 떠나 있는다. 그러나 시장의 폭락이 과도하고 일드갭이 매우 유리하게 나올 때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형 우량주 중심으로 주식을 분할매수한다. 

 

회복일 경우-대세가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되는 시기라고 보고 적극적으로 주식을 매입한다. 일드갭을 계산해 본 결과 유리한 경우, 특히 금리가 더 이상 하락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보낼 때가 주식을 매입하기에 가장 좋은 때이다. 

 

 

 

 

이론만으로는 알것 같기도 하고 모를것 같기도 하다. 신문과 뉴스로 여러 경제 상황이 익숙해져 판단하는 눈을 기르도록 해야겠다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