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초보를 위한 주식투자 5계명
1. 주식투자로 손해 볼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라!
주식투자에 처음 입문하는 분이라면, 주식투자로 높은 수익을 얻을 수도 있지만 손실을 볼 위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손실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첫째 자신이 허용할 수 있는 손실의 범위를 생각해 두는 것입니다. 생계의 기초가 되는 전재산을 투자한다든가 어떠한 일이 있어도 까먹어서는 안 되는 자금으로 주식투자를 해서는 안됩니다.
둘째는 장기 여유자금으로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초보투자자는 소액으로 시작하십시오. 여유자금이 없다면 당장 종잣돈부터 모으십시오.
2. 목표수익률을 낮춰라!
처음부터 목표수익률을 무리하게 높여 잡으면 작전주나 부실주에 손을 대는 등 종목선정에서 매매시점 판단까지 투자원칙을 일관되게 지키지 못하게 됩니다.
3. 하루 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 있지 마라!
하루 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 있어서는 마음의 평온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되도록 컴퓨터 보는 시간을 줄이십시오. 그리고 명상과 심호흡을 자주 하십시요.
4. 계좌 잔고의 금액이 항상 초기 투자금액이다.!
만약 200만원으로 투자를 시작했는데 투자손실이 많아 100만원밖에 남지 않았다면 100만원을 초기 투자금액이라고 생각하십시오. 200만원을 기억하고 있는 한 여러분은 올바른 투자 판단을 할 수 없습니다.
주식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돈을 잃지 않는 것이지만 날린 투자금액을 생각해 봤자 정신 건강에 안 좋습니다.
5. 계좌를 관리하라!
첫째, 현금 비중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현금 비중은 시장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체로 10-30% 선을 우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정하게 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면 시장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될 뿐만아니라 종목선정을 할 때나 매매를 할 때 마음의 여유가 생기게 됩니다.
둘째, 자산을 과도한 위험에 노출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선물, 옵션, ELW 같은 상품은 위험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개인투자자의 경우 스스로 상당한 수준에 올라 있다고 판단되더라도 원칙적으로 이런 상품에 투자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원금 이상의 수익은 다른 계좌로 옮겨놓아야 합니다.
원금 이상의 수익은 계좌에서 출금해 별도의 예금성 계좌 (예를 들어 MMF 또는 CMA 계좌)에 옮겨놓으십시요. 초기 투자금액이 헛갈리면 수익관리가 안되기 때문입니다.
주식투자는 자신의 심리상태를 다스리고 상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해야 성공합니다. 하지만 실제 투자에 들어가면 이런 원칙과 계명은 쉽게 무너집니다. 누구나 자기가 산 주식은 예외일 것이라며 그럴듯한 이유로 자기합리화를 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예외를 두면 안됩니다.
MMF 계좌
Money Market Fund의 줄임말. 단기금융펀드를 말합니다. CP, CD같은 단기금융자산에 집중 투자하기에 시장금리 움직임을 신속하게 반영하여 시장금리가 상승하면 MMF수익률도 함께 상승합니다. CP, CD는 1천만원 이상이 있어야 가입할 수 있지만 MMF는 가입금액에 제한이 없습니다. 또한 입출금이 자유롭고 중도해지에 따른 수수료를 물지 않습니다.
CMA계좌
Cash Management Account의 줄임말, 고객의 자금을 주로 RP(환매조건부채권)에 투자해 수익금을 배당해 주는 금융상품입니다. 은행 및 CD기를 통해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며 급여이체, 카드결제, 공과금 이체도 가능합니다. 주식뿐 아니라 금융상품 거래도 가능해 종합자산관리 계좌라고도 합니다.
주식투자 5계명은 초보자에겐 아주 중요한 5계명이다. 항상 일정량의 현금을 유지하고 원금 이상의 수익은 다른 계좌로 옮겨놓는 것은 좋은 팁인듯하다. 자기만의 룰을 만들어 지키며 투자하라고 하는데 막상 시작하면 정말 마인드 컨트롤이 쉽지 않을 듯 하다. 일단은 작은 돈으로 시작해보고 룰을 지키며 마이드를 컨트롤하며 투자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리라.
'경제와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주문 시 주의사항 : 분할매수, 분할매도 (0) | 2018.12.19 |
---|---|
주식시장 매매체결의 원칙, 호가 (0) | 2018.12.16 |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경상수지 , GDP갭과 Yield갭 , 주식투자를 해야할때와 하지 말아야 할때 (0) | 2018.12.12 |
금리, 통화량, 환율 (0) | 2018.12.11 |
주식투자 시기, GDP, GDP 갭 , GNP, 잠재성장률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