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우리가 무대에 오르기 전에 긴장하거나 설렘으로 가슴이 뛰는 이유는 곧 벌어질 일을 우리 뇌가 미리 짐작하기 때문이다.
이때 초보자는 몸에서 코르티솔을 분비하고 숙련자는 아드레날린을 분비한다.
같은 일을 앞두고 초보자와 숙련자는 그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몸에서 서로 다른 호르몬을 분비한다.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이 우리가 세상에 반응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 Life is all about attitude "
인생은 태도가 전부이다.
환경이 문제가 아니라 내가 보는 방식에 따라 나의 인생은 달라진다.
어떤 문제에 맞딱뜨렸을때 문제를 스트레스로 보느냐 아니면 도전과제로 보느냐 , 프레임에 따라 엄청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내가 처한 문제 즉 현실을 먼저 수용하고 이를 풀어나가기 위하여 어떤 단계를 하나 하나 걸쳐 나가야 하는지 작은 계획들을 세우고 실천한다.
강인함의 힘에서 통제감 이야기가 나온다.
인간은 자신이 통제감을 가지고 행동한다고 느낄때 자존감이 올라가고 자신감이 늘어나게 된다.
오늘이 벌써 새해를 맞은지 13일째이다.
PDS 다이어리를 쓰면서 느슨해질때마다 신박사님의 이야기를 떠올린다.
다이어리를 작성하는데 5분밖에 걸리지 않는데 이를 못쓰고 넘어가는건 그날의 통제감을 잃어버린 것.
오늘도 나는 통제감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살았다는 증거를 남기고자 매일 다이어리를 작성하고 있다.
반응형
LIST
'나의 독서리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하고 싶은 자, 행복해지고 싶은 자. 결코, 배불리 먹지 말 것 (0) | 2025.02.04 |
---|---|
자청의 1000만원빵 프로젝트 건강의 뇌과학 (2) | 2025.01.18 |
선과 악의 기준은 무엇인가 (0) | 2025.01.03 |
더 빠르게 실패하기 내 방 구하기 프로젝트 (0) | 2024.12.09 |
두 번째 인간관계론 영독단으로 원서 도전 (2) | 2024.12.02 |